오십견(frozen shoulder)은 견관절 주위의 힘줄이나 건의 염증으로,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인 사용이나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과 함께 견갑골 주위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휴식과 물리치료가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며, 중증의 경우 주사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십견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십견이란?
오십견(어깨관절 주위염)이란 어깨 관절이 아파서 관절의 움직임이 나빠지는 병입니다. 견관절 주위염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중년 이후, 특히 50대 환자가 많습니다. 환자에 따라 원인이나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다수 경우는 옷을 입거나, 집안일을 하거나, 물건을 드는 등 생활 동작 속에서 어깨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한 통증을 느끼는 운동통이나, 한밤중에 어깨에 욱신거리는 통증을 느끼는 형태를 띠게 됩니다. 심할 때는 잠을 잘 수 없는 등의 야간 통증이 있습니다. 나이를 먹으면서 어깨 관절을 만들고 있는 뼈나 연골, 인대나 힘줄 등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합니다. 그 후 염증이 가라앉는 것에 맞춰 통증도 가벼워지지만, 염증으로 인해 어깨 관절과 그 주변이 달라붙어 유착되면 관절의 움직임이 나빠지기도 합니다.
발생 원인
오십견(견관절 주위염)은 옷을 입으려고 할 때나, 골프 스윙을 할 때 갑자기 어깨에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저림을 느끼면서 발병합니다. 환자에 따라, 발병 타이밍이나 증상은 다양하지만 주로 50대 이상의 환자가 많습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어깨 관절을 만들고 있는 뼈나 연골이나 인대, 힘줄 등이 딱딱해지고 조직이 염증을 일으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발병하는 어깨는 왼손잡이 팔과는 관계가 없고, 좌우 어느 한쪽의 어깨에 일어나, 양쪽 어깨가 동시에 발병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한쪽 어깨가 발병한 후에, 다른 한쪽 어깨가 아플 수 있습니다. 염증을 일으킨 어깨 관절 속에서, 조직이 유착되어 버리면 더욱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 또한, 통증 때문에 어깨가 움직이지 않고, 어깨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의 혈액 순환이 나빠져, 어깨 관절이 딱딱해져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관절이 변형되어 있거나,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힘줄이 끊어지거나 하는 등 어깨 관절을 만들고 있는 조직 중 하나만이 원인인 경우에는 오십견(어깨 관절 주위염)과는 구별됩니다.
증상
오십견(견관절 주위염)의 증상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지만, 옷을 입을 때 아파서 팔이 올라가지 않는다, 등이 아파서 손을 돌릴 수 없다, 넥타이를 조이는 것이 어렵다 등 몸을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는 운동통과, 밤이 되면 욱신욱신 어깨가 아파서 잠을 잘 수 없을 정도의 야간 통증은 많은 환자가 느끼는 증상입니다. 염증이 일어나고 있는 와중에는 통증이 강하고, 치료도 통증을 억제하는 것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염증이 가라앉으면 통증도 동시에 가라앉지만, 조직이 유착하거나, 어깨를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혈액순환이 나빠져 어깨 관절이나 조직이 딱딱해져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상태를 막고 개선하기 위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검사 및 진단
오십견(견관절 주위염)은 통증이 있는 부위나 어깨의 움직임 등을 진찰하여 진단 내립니다. 진단 시에는, 힘줄의 파열이나 어깨 관절의 변형, 경추 질환이나, 신경성 질환, 암 등의 종양, 내장이 원인이 되는 통증, 인산칼슘 결정이 어깨에서 석고 모양이 되는 석회침착성 건판염 등 다른 질병이 숨어 있지 않은지 주의해서 진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엑스레이 촬영이나, 관절에 조영제를 넣어서 일반 엑스레이에는 찍히지 않는 관절의 형태나 관절을 감싸는 막 등 조사하는 관절 조영제 검사, 신체의 모습을 단면도로 진찰할 수 있는 MRI나 초음파 검사 등을 실시하여 진단 내립니다.
치료방법
오십견(어깨관절 주위염)의 치료는 어깨관절의 통증을 치료하는 것과 어깨의 움직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것의 2가지입니다. 어깨 통증이 강한 시기는 팔을 올리거나, 물건을 들거나 하는 어깨에 부담이 되는 일은 피하고 안정을 취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깨를 고정하는 암슬링이나 삼각건을 사용합니다. 진통제로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찜질을 하거나,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스테로이드제나 히알루론산 제제 등을 관절에 주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이 가라앉은 타이밍에 어깨 관절을 움직이기 위한 재활을 실시합니다. 어깨를 진자처럼 어슬렁거리게 하는 운동 등의 운동 요법과 동시에, 핫팩이나 목욕 등의 온열 요법으로 피의 순환을 개선하고 어깨가 움직이는 범위를 되찾는 치료를 실시합니다. 이러한 치료에서도 개선이 보이지 않는 경우는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방 방법은?
어깨는 관절이 크게 움직이는 장소로, 어깨 관절을 만들고 있는 근육이나 근육에 영양이나 산소를 운반하는 혈관도 풍부하게 있는 장소라고 하지만, 운동 부족으로 어깨를 움직이지 않거나, 추운 계절이거나 하면 어깨의 혈액 흐름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혈액의 흐름이 나쁘면 오십견(어깨관절 주위염)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적당히 상반신의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을 하거나, 목욕할 때는 어깨까지 뜨거운 물에 담그거나 하여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깨의 운동 범위가 줄지 않도록 팔을 돌리거나 스트레칭을 하는 등 평소의 대처가 예방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