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성 피부염(발진)이란?

접촉성 피부염은 특정 물질과의 접촉 후 발생하는 피부의 염증으로, 증상은 발진과 가려움증이 주를 이룹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접촉성 피부염이 무엇인지, 발생하는 이유와 증상, 예방법, 치료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접촉성 피부염이란?

접촉성 피부염은 ‘발진’이라고도 불립니다. 피부가 자극 물질이나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에 닿으면 발병하는 습진성 염증이기도 합니다. 습진이란 피부의 표피나 진피에 염증이 일어나 가려움증이나 따끔거림이 생기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혹이 생기거나, 물집 등이 생기거나 하는 피부 질환을 나타냅니다. 습진이 장기간 지속되면, 피부가 거친 상태가 됩니다. 접촉성 피부염은 크게 자극성과 알레르기성으로 나뉘며, 여기에 빛이 닿으면 피부염이 발병하는 것을 더해 ‘자극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빛 접촉 피부염’ ‘전신성 피부염’으로 분류됩니다.

발생 원인

자극성 접촉 피부염은 자극물이 허용 농도를 넘어 접촉하면 누구나 발병합니다. 일회용품이 자극 물질이 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세제나 비누 등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나, 클리닝 용제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편,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은 특정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만이, 미량의 원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으로 발생합니다. 일상생활에서는 고무제품에 포함되는 약품이나 접착제, 섬유나 플라스틱 제품에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나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나 항균제 등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그중에는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을 눈치채지 못하고 계속 사용하며, 피부염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환자도 있습니다.

증상

접촉성 피부염은 자극물이나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에 닿은 부위에, 가려움증이나 따끔거리는 통증을 느끼거나, 붉어지거나, 붓거나, 붉은 얼룩이 생기거나,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겨지거나, 그것들이 섞여 피부가 쭈글쭈글해지기도 합니다. 피부의 염증이 장기간 지속되면, 피부 표면이 뻣뻣하고 뻣뻣한 상태가 됩니다. 전신성 접촉 피부염에서는,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이 경구, 흡입, 주사 등 접촉 이외의 경로로 생체 내에 침입하여 전신에 피부염을 일으킵니다. 접촉성 피부염에서는, 피부 병변이 접촉 범위를 넘어 전신에 출현합니다.

검사 및 진단

문진이나 시진, 촉진, 패치 테스트에 의해 진단합니다. 패치 테스트란 알레르기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물질을 환자의 피부에 48시간 부착하여 부착 48시간, 72시간, 1주일 후에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부착하는 원인 물질의 양이나 농도, 접촉시키는 시간 등이 결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피부과 의사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빛 접촉성 피부염을 의심할 때는 광 패치 테스트를 실시합니다. 전신 접촉성 피부염의 경우는 원인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사용하거나, 복용하는 시험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방법

아토피성 피부염 등 다른 피부염과의 차이를 올바르게 진단한 후,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는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이나 자극 물질을 찾아내고, 그것들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미나 일, 가사나 화장품 등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생활용품이나 생활습관, 발병한 시기, 발병한 부위 등을 문진으로 확인하고, 패치 테스트를 실시하여 원인이 되는 물질을 특정합니다. 피부염이나 가려움증을 억제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외용약을 발라 치료를 합니다. 가려움이 강한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의 내복을 추가하고, 중증 사례에서는 스테로이드의 내복약을 처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방 방법 및 주의할 점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 물질에는 되도록 만지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만져버린 경우에는 씻어내는 등 빠른 대응이 중요합니다.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세제나 클리닝 용액에 의한 자극성 접촉 피부염에는 크림이나 보습제나 장갑의 사용이 예방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또한 세탁이나 설거지, 청소 등의 일반적인 가사활동 시에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니트릴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